Should You Specialize or Be a Generalist? | Tim Ferriss
팀 페리스는 '나는 4시간만 일한다'의 저자로써 한때 한국에서 꽤 큰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던 작가, 기업가, 팟캐스터이자 유튜버이다.
하루 8시간씩 직장에서 일을 하며 보내는 시간 대신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최소한의 시간만 일하고 원하는 대로 사는 뭔가 한국에서는 불가능해 보이는 삶을 실현하며 살고 계실 것 같은 분인데, 회화 수업 주제를 찾던 중 뭔가 신박해 보이는 주제이기에 수업에 활용하기로 했다.

한 분야에 오랫동안 종사해 삶에서 일의 흔적이 묻어 나는 분들을 보면 절로 존경심과 경외감이 든다.
나와 같이 다방면에 흥미를 가지나, 쉽게 지루함을 느끼는 사람에겐 이런 분들은 나와는 다른 세상에 살고 계신 분들이라 어린 시절부터 동경을 했었다. 한참 자기 계발서 많이 읽던 고등학교 시절에는 백지연 씨의 자기 설득 파워라는 책에서 이러한 내용을 다루는데, '지금의 나는 제너럴리스트이지만 꼭 대체될 수 없는 스페셜리스트가 되어 어디에서든 혁혁한 공을 세우고 많은 사람들에게 인정받으리라!'라고 스스로 다짐하며 스페셜리스트라는 키워드를 내 뇌리 속에 꽤 오랫동안 머물게 했었다.
문득 포스팅을 쓰다 나는 어디에 조금 더 가까운 사람일까? 궁금해졌다
그래서 잠깐 검색해보니 스페셜리스트와 제너럴리스트 구분 테스트가 있어서 홀로 테스트를 했지
밑에 테스트 문항이니 잠깐 시간을 들여서 어떤 분야에 가까운 사람인지 테스트해보도록 하자!


제 점수는요?
.
.
.
.
28점... 조금 의외였다. 지금껏 제너럴리 스트라고 굳건히 믿고 살아왔는데 테스트 결과를 받고 보니 읭??
팀 페리스가 동영상에서 스페셜한 제너럴리스트가 되어라 라고 했는데, 아직 스페셜한 분야가 있다가 말하기엔 스스로 갈 길이 멀다고 생각하지만 꾸준한 노력을 거듭하다 보면 진짜 둘의 장점을 적절히 섞어 극대화할 수 있지 않겠는가 라고 희망해보며 영어 요약본을 펼쳐본다.
A specialized generalist is his answer
Try to combine a handful of skills that are really combined.
If you combine two skills that are valuable but even more rare and therefore more valuable together in many instances like a computer science degree and a law degree.
You have a competitive advantage that allows you to more likely end up saying the top decile of earning power.
No need to master a thousand different skills
You are not dabbling as a dilettante and a million things and never going say a mile-deep
*dabbling: 조금 해보다, 첨벙거리다
*dilettante: 아마추어, 애호가, 취미로 하는 사람
Ex) Warren Buffett took a Dale Carnegie speaking course. being a good speaker having a command of communication in spoken form and informing one's very good writing really provides you with an Archimedes lever for whatever other kills you happen to have because there are a bunch of skillful people who are not wel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in their coworkers.

So public speaking, writing, and negotiating are the very easy add-ons or multipliers for whatever your core skill or skills might be.
Those will give you an immediate competitive advantage.
His best career choice or the best project choices he made was to think about winning even if I fail.

He chose his project what he commits time to over a six to twelve-month period based on the skills and the relationships he will develop that can transcend or persist after the project
His early on startups stumbled upon which didn't work out but then later he ended up becoming involved with Uber that's a great example of this principle in practice if he looks at his experience with the 4-hour chef and the experimental amazon publishing which did not work out as well as one would have hoped but then his relationship that he developed with Houghton Mifflin HMH that then transferred over later to his work with tools and Titans okay. Then you have different types of skills like being interviewed for podcasts during the launch of the 4-hour chef and for our body, he learned so much from these podcasters.
With that knowledge, he could start his own podcast the Tim Ferris show.
These are independent projects that one could
you can plant the seeds in the form of the relationships and skills that gave him a thousand x 10,000 extra turn later after a few failing on personal projects.

that is how you can insure yourself in some ways bulletproof yourself against failure as long as you have those ingredients relationships good people and skills marketable that can be transferred to other areas outside of that particular project or experience that it's not siloed
It's a positive snowball effect whether you are a specialist or a generalist. So choose a handful of things that combine very well as opposed to trying everything or planting all of your bets in one particular spot.
It can make sense to specialize only if you are the LeBron James of your field or can be in the top top top few percents of what you plan to do.
크게 보면
- 모든 영역에서 다 잘하려고 할 필요도, 또한 한 분야에 올인할 필요도 없다.
- 제너럴리스트나 스페셜리스트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두 분야를 섞어 장점을 극대화하자 라고 정리를 했다.
- 망설이지 말고 본인이 스스로 계획했던 프로젝트 혹은 비즈니스를 '이것이 실패해도 나는 이기는것이다' 라는 마인드셋을 가지고 시작하라
- 작은 시작이 눈덩이를 굴려 인맥, 경험 그리고 지식으로 돌아오고 나중에 엄청난 보상이나 기회로 이어진다.
이렇게 이번 팀 페리스의 영상을 정리할 수 있겠다.
'수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주일만에 이태리어 정복하기 파트 2 (0) | 2020.06.05 |
---|---|
행복한 30대 은퇴를 위한 10년 계획 (0) | 2020.05.31 |
소수의 본질적인 가치에 대한 추구 (0) | 2020.05.19 |
영어 회화 공부 할때 꼭 필요한 도구들 (0) | 2020.05.17 |
배움의 혁명을 가져오자! (0) | 2020.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