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시간이 쫓겨사는 나: 3차원 시간 관리법
https://www.youtube.com/watch?v=y2X7c9TUQJ8
본격적인 여름이다.
찬물 샤워 17일 차, 엊그제부터는 찬물로 샤워하고 나와도 밖에 나와서 걸으면 1분 안에 마스크 쓴 인중에 땀이 맺힌다ㅠㅠ
찬물로 샤워한다는 게 무색해질 만큼 한국에서의 더위는 적응하기 쉽지 않지만, 곧 가을이 오겠지
2020년 새해를 맞이한 게 엊그제 같은데 이미 8월을 넘어가고 있다.
그간 올 한 해 이루고자 했던 당신의 버킷리스트와 목표는 어떠한지 돌아보기 좋은 시점이다.
코로나로 인해 너무 변해버린 삶에 적응하는 기간이 꽤 걸려서 원래 하고자 했던 계획들도 미뤄지고 여행, 취직, 모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참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그렇지만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의 물리적인 시곗바늘은 코로나로 인해 힘겨워하는 우리들의 삶과는 무색하게 하염없이 똑딱이며 돌아간다.
나 역시 세상의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아서일까? 꽤 변화가 많은 시기였다.
기존의 학생들과의 아쉬운 작별이 있었지만, 새로운 학생들과의 설레는 새로운 시작, 트렌드에 맞게 감소한 학생들의 수로 인해 생긴 한적한 시간을 한탄하며 생존을 위해 시작한 블로그, 코로나가 걸린 줄 알고 엉겁결에 끊어버린 담배, 칩거생활로 인한 강제 금주, 올빼미의 삶을 청산하고자 시작한 미라클 모닝, 새로운 환경에서 새롭게 시작하기 위한 이사 그리고 삶에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는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인연으로 33년간 무신론적인 삶을 벗어던지고 유신론적인 삶을 살기 위한 노력까지.
'어쩌면 코로나가 내게 안겨준 이 여유로운 시간은 제2의 삶의 국면을 맞이하려는 준비가 아닌지'란 생각에 도리어 감사하다고까지 생각된다.
긍정적인 변화들이 많았기에 그렇게 생각되나 보다.
물론 열거해놓은 좋은 변화들도 있었지만, 천성적으로 실증을 빨리 느끼고 노력이 부족한 나에게 이루지 못한 목표들도 꽤 많았는데, 이건 오롯이 내 미숙한 시간관리능력와 게으름, 미루는 습관에서 나왔다.
어렸을 때부터 시간에 대한 과신인지 나 자신에 대한 과신인지는 알 수 없으나, 거의 막바지에 가서 후다닥 하는 습관들을 갖고 살아왔다.
살아보니 이게 참 좋지 않은 습관이란 걸 알면서도 고치는 게 쉽지 않았고, 내 시간관리능력과 미루는 습관에 대해서 한탄하면서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항상 유튜브를 뒤적거리며 또 시간을 흘려보내곤 했는데, 이번에 찾은 3차원 시간관리법은 꽤 참신하고 쌈박한 아이디어가 아닐까 해서 내 개인적으로도 적용하고 싶거니와 다른 분들과도 함께 공유하고 싶다는 마음이 들어 포스팅하기로 마음을 먹었다.(사실 이 시간 또한 낭비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을 거라 생각한다ㅠㅠㅋ)
강연자는 로리 베이든, '2시간을 두배 늘려 사는 비결'의 저자이자 리더십 및 자기 계발 전문 강연자다.
두번의 아픔을 겪으신 홀어머니 밑에서 자란 그는 어렸을 적부터 성공에 대한 욕망이 컸고, 결과적으로는 참신한 시간관리법과 자기 계발법들을 사람들과 공유하면서 꽤 명망 있는 연설가로서의 삶을 순항하는 것으로 보인다.
출처: 인터파크
저자의 책 제목을 보면 의문이 들것이다.
어떻게 모두에게 똑같이 주어진 하루 24시간이란 물리적인 시간들을 2배로 늘려서 살 수 있을 것인가?
그의 강연에 의하면, 시간관리법에는 1차원, 2차원, 3차원 시간관리법으로 나눠지는데, 초기 시간관리법은 효율성의 극대화를 위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즉, 할당된 일들을 최대한 빠르게 하기 위해서 시간 관리법을 발명됐는데, 기술 사회가 도래한 지금 모두가 호주머니 속에 시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스마트폰 한 대씩 들어가 있지만 정작 그것들은 우리의 시간을 쓸데없는 곳에 갉아먹고 있는 시국이라 제한이 있다고 한다.
2차원 시간관리법은 지난 30년간 스티븐 코비(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의 저자)가 발명한 일의 중요성과 긴급성을 토대로 만든 시간관리법인데, 쉽게 말해서 우선순위 정하기를 통한 시간관리법이다.
우선순위를 통한 시간관리법은 중요한 일을 먼저 끝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좋은 시간관리법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이 또한 다른 일을 해야 하는 시간을 빌려 중요한 일에 몰두하다 보면, 중요도가 높은 그 날의 한,두 가지 일 이외 나머지 일은 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고 했다.
하지만 3차원 시간관리법은 이 2차원 시간관리법에 significanc(중대성)을 더하는데, 얼핏 보면 importance와 뭐가 다를 게 있나 라고 의문을 제기할 수 있지만, significances는 철저하게 미래에 미칠 영향력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렇기에 로리 베이든은 이를 복리와 비슷한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지금 내가 하는 이 일이 얼마나 길게 내 삶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토대로 시간관리를 하는 것이다. 복리가 지금 내가 입금하는 이 돈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거대하게 부풀어지는 것과 같이.
이외에도 솔깃하고 쌈박한 시간관리에 대한 개념들을 많이 선보였는데, 내가 직접 일을 처리하지 않으면 하루종일 찜찜한 기분이 드는 나와 같은 사람들의 뼈를 때리는 '시간관리 집중 모델', 그리고 '오늘의 내가 하는 일로 인해 내일 더 많은 시간을 활용할 수 있게 나 스스로에게 감정적인 허락을 구하라' 라는 Key 메시지까지. 귀담아 들을만하다.
관심 있는 분들은 정리해놓은 강연을 보며 코로나 시국 좀 더 나은 시간관리를 통해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해 보시는 것도 좋을듯하다 :)
How To Multiply Your Time.
The first realization!
Time management is all logical
what he realized from a 2-year-old. is time management is no longer just logical, today time management is emotional.
how our feelings of guilt, fear, worry, anxiety, and frustration dictate how we choose to spend our time as much as anything that's in our calendar, on our to-do list.
In fact, there is no such thing as time management because you can't manage time, time continues on whether we like it or not.
so there is no such thing as time management. but only self-management.
The time management theory
the early time management was all about efficiency.
The idea was to develop tools, technology, tips, and tricks to help us get our TO-DO list done faster.
However, there is an unfortunate limitation to efficiency as a strategy for time management,
for example, We all carry around our miniature computers in our pockets, and yet, we're still never caught up.
Later on, Dr, Stephen Covey came up with the different concept of time management in which, x-axis was urgency, and the y-axis was importance, so the beauty about this was that it gave us a system for scoring our tasks, and then based on how they scored in these two areas, we could prioritize tasks.
Prioritizing is a valuable skill but it doesn't create more time and it does nothing to help you accomplish the other times on your to-do list.
time management for efficiency is like running on a hamster wheel, and prioritizing is about borrowing time from one activity to spend on another so it's kind of like juggling.
Therefore, you cannot solve today's time management problems with yesterday's time-management thinking.
There is a new thinker known as a multiplier. multipliers are making a third calculation which is based on significance,
First-dimension, Urgency: How soon does it matter?
Second-dimension, Importance: How much does it matter
Third-dimension, Significance: how long does it matter
It's a completely different paradigm.
we ask ourselves when we assemble our to-do list, we say: "What's the most important thing I can do today?"
But that is not how multipliers think; multipliers, instead ask the question: "What can I do today, that would make tomorrow better?" , "What can I do right now, that would make the future better?"
They are making the significance calculation.
The way that you multiply time is simple: you multiply your time by giving yourself the emotional permission to spend time on things today that will give you more time tomorrow.
the focus funnel is our attempt to create a visual depiction that codifies the thought process, that multipliers go through in their head, unconsciously, when they are evaluating how to spend their time. and it's why some people create extraordinary, explosive, exponential results, and other people seem to kind of just create linear traction.
The multiplier's funnel
if your tasks all come into the top of the funnel, the first question a multiplier asks is: "Can I eliminate this?", "Is it even worth doing?"
Multipliers realize two things:
First, Time management has much more to do with what you don't do, than what you do.
Second, perfection is achieved, not only when nothing more can be added, but when nothing more can be taken away.
=> it's is the permission to ignore.
because anything that we say no to today creates more time for us tomorrow.
the emotional challenge is that we struggle with guilt, and we struggle with wanting to say no, but really feeling like we have to say yes, so we go through life trying to never say no.
The next question is: "Can I automate the task?"
Anything that I create a process for today, saves me time tomorrow.
It's like setting up online bill pay.
Automation is to your time exactly what compounding interest is to your money.
Just like compounding interest takes money and it makes money into more money, automation takes time, and it makes it into more time. Multipliers give themselves the permission to invest, invest the time and energy to automate the process.
If it's not automated, then the question is: "Can it be delegated?", "Can I teach someone else how to do this?"
average people would say, "I cannot delegate to someone because they just can't do it as well as I can"
but that's not true, they would master the tasks after one or two times of mistakes just like you did before.
It's how you multiply your time, It's giving yourself the permission of imperfect, for a little while because, over time, they'll be able to figure it out.
if you can't eliminate, automate, or delegate a task, that task drops out the bottom of the funnel, at that point, there's only one question, and that question is: Should I do this task now? or Must it be done now, or can it wait until later?
If the task must be done now, then that's what we call "concentrate".
it's the permission to protect. it's all about focus and eliminating distractions and honestly, there's nothing all that exciting, or new there. However, If you ask the question: "Can this wait until later?", and you decide to answer yes, then that's not eliminate, automate or delegate, that is what we call "procrastinate on purpose."
you're going to pop that activity back to the top of the funnel, at which point, it will enter into a holding pattern where it will cycle through the focus funnel, until inevitably, one day, eventually one of the other 4 strategies will be executed on whenever that task is. and what you find, is that if something can continually wait, often what happens is you develop the courage to do what you should have done in the first place, which was eliminate it.
Or you discover a system for how to automate it. or someone reises up to the call of leadership.
they rise up to the occasion, and it ends up being delegated.
procrastination on purpose has a major distinction with procrastination we usually do.
the difference is in waiting to do something that we know we should be doing that we don't feel like doing, versus waiting to do something because we're deciding that now is not the right time.
Waiting to do something we know we should do, but don't feel like doing, that's procrastination, the killer of success.
Waiting to do something, because we're deciding that now is not the right time, that's isn't procrastination, that isn't the killer success, that's a virtue and it's an art form that the world really needs, which is patience.
The patience to put off the insignificant things.
You multiply your time, by giving yourself the emotional permission to spend time on things today, that create more time tomorrow.
God's first command to all of humanity, "Be fruitful, and multiply."